GA와 GTM을 연동하여 광고로 통해 일어나는 전환값을 추적할 수 있게 연습해봤다.
먼저, 구글애즈에서 [도구 및 설정] - [전환]을 선택해 새 전환 액션을 만든다.
웹사이트 도메인은 내 티스토리로 임의 설정했다 :)
그리고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URL 입력 아래에 있는 [수동으로 전환 액션 추가]이다.
누르면 여러 설정값들이 나오는데, 우선 내가 설정하고자 하는 목표는 구매전환이기 때문에 [목표 및 액션 최적화]에서 구매를 선택한다.
그리고 값과 횟수를 세팅해주는데, 모두 동일한 가격만을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면 [전환별로 서로 다른 가치 사용]을 선택해야 각각의 다른 가격이 측정된다.
횟수 또한 매 건의 구매전환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매회]로 설정해야 한다!
기간까지 마저 설정해주고, 마지막으로 설정된 값을 더블체크해준다.
전환값이 잘못 설정되어버리면 아무리 광고세팅을 기가 막히게 해두어도 데이터 산출 및 광고전략에 너무나도 치명적일 수 있으니 전환을 세팅하는 것 정도는 꼭 몸에 익혀두고 숙지할 것!
그러면 이제 태그 설치를 어떻게 할 건지 선택하라고 나오는데, 나는 GTM을 사용할 예정이기 때문에 [Google 태그 관리자 사용]으로 선택해준다.
[방법]이라고 해서 전환ID와 전환 라벨이 나오는데, 이걸 각각 복사해준다.
이제 GTM으로 돌아가서 태그를 만들어준다. 태그 유형은 Google Ads 전환 추적으로 설정해준다. 전환 ID, 전환 라벨에 아까 복사해둔 값을 붙여넣으면 된다.
전환 가치와 거래 ID는 실제로 가격이 있는 사이트에서 변수값을 수동으로 등록해주어야 하는데 나는 티스토리이니 조금 애매해서 그대로 뒀다. 실제로 구매전환에 대한 수치를 추적하려면 이 값들도 꼭 필요하다.
그리고 전환링커 태그까지 만들어줘야 한다. 방법은 간단하다. 태그 유형에서 [전환 링커]를 선택하고, 트리거는 All Pages 페이지뷰로 설정하면 끝이다.
트리거는 태그를 실행할 때 조건을(모든 페이지, 특정 페이지, 이벤트 등) 정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때 구글태그매니저가 모든 페이지를 관찰하고 데이터 분석을 해주는 역할이 된다고 한다.
실제 구매가능한 상품이 있는 페이지를 가지고 연습해보면 더 좋을 것 같은데, 다음에는 전환가치까지 함께 연동해서 볼 수 있으면 좋겠다!
'마케팅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 GTM 이벤트, 트리거, 변수, 매개변수 (0) | 2023.07.19 |
---|---|
TIL | 내 티스토리에 GA 심기 (0) | 2023.07.17 |
TIL | 앱스토어 스크린샷 변경해보기_짐박스 (0) | 2023.07.17 |
TIL | 앱 마케팅 용어 정리본! (0) | 2023.07.05 |
TIL | GDN 광고게재 직접 해보기 (0) | 2023.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