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케팅 TIL

TIL | GTM 이벤트, 트리거, 변수, 매개변수

 

 

이전 직장에서는 채널톡과 GTM을 연동해서 추적하는 액션을 했었는데, 원리도 사실 잘 모르고 채널톡에 있는 가이드대로 냅다 했던 기억이 있다.

이제는 작동 방식을 조금 파악한 것 같긴 한데 실무에서 내가 어떻게 쓸 수 있을지 궁금해진다 👀

 

 

우선 내 티스토리에서 어디를 클릭해도 클릭했다는 것이 Tag assistant에서 조회될 수 있도록 설정했다.

 

 

GTM 미리보기를 통해 내 티스토리 내의 빈 공간을 클릭했는데 [Tags Fired] - [all_click]이 기록된 것을 볼 수 있다.

근데 늘 궁금했던 것,,,, Fired는 무슨 뜻일까,,,, 내가 아는 뜻은 해고밖에 없는데, ,,,

 

그래서 찾아보니 이런 뜻이 있었다 아마 활동(움직임)이 있는 태그 / 활동이 없는 태그 정도로 받아들이면 될 듯...

 

 

 

 

목록 더보기를 눌렀을 때도 태그가 발동되도록 설정했다.

 

 

그리고 보통 유저행동분석을 할 때 많이 사용되는 스크롤뎁스도 함께 설정했다.

 

 

스크롤 깊이 트리거는 비율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트리거들은 "모든 페이지"로 설정했더라도 분석값에서 각 페이지에서의 트리거도 조회할 수 있도록 설정 가능하다.

 

 


아직 어떻게 돌아가는지 정도만 감이 잡혔고 여전히 어려운 GTM,,, 코드가 들어가는 것들은 개발팀에서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지만 그 작동원리와 소통 포인트를 알면 협업에 분명 도움이 많이 될 것 같다. 그리고 혹여나 도움을 받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더더욱!

나 자신에게 아쉬웠던 점은 스텝 하나하나를 따라가고 어떻게 하는지만 알게 된 상태라는 점이다. 물론 내가 직접 GA를 심어서 할 수 있는 사이트가 많이 없다는 한계 때문인 것도 있지만, 더 많은 변수들을 공부해봐야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