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터 (4) 썸네일형 리스트형 TIL | 앱스토어 스크린샷 변경해보기_짐박스 어떤 앱을 다운로드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텍스트로 쓰인 설명 그리고 앱스토어에 들어가면 나오는 스크린샷 이미지를 보고 다운로드를 결정하게 된다. 웬만한 앱들은 어느 정도 정해진 틀을 따라가는 듯했지만, 그 중에서도 개선점이 보이는 앱을 하나 선정해서 수정해보았다! 내가 선정한 앱은 실제로 내가 사용하고 있는 짐박스(GYMBOXX)다. 헬스장 멤버십 어플인데, 그냥 헬스장 출입 코드나 결제정보 정도로 활용할 수 있는 앱이 아니라 1. 넷플릭스처럼 월 단위로 구독을 신청/해지할 수 있고 2. 내가 다니는 지점의 실시간 혼잡도 및 기구 배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3. 지점에 비치된 매점(?)에서 마실 음료를 미리 주문해둘 수 있고 4. PT별 평가 조회 및 예약을 할 수 있다. 물론 지금 등록된 이 이미지로 봐.. TIL 5 | 마케팅 시장조사 - FGI FGI (Focus Group Interview) Focus Group Interview의 약자로, 특정한 경험을 공유한 사람들이 함께 모여 인터뷰를 진행하는 조사 방법. 정성적 조사에 해당한다. 구성 Warm up stage : 15분 사회자 및 회사소개 참석자 소개(나이/관심사) Bridge Stage(Life Style) : 15분 생일 선물을 준다면 가장 갖고 싶거나 하고 싶은 것? 또래에 이런 거 못하면/모르면 안 된다 하는 것? Main Stage : 40분 본 주제에 관한 질문 제품의 특징에 대한 수요조사 Ending Stage : 40분 지금까지 토의된 것들에 대해 한 번 요약하고, 참석자들의 태도나 반응의 강도에 대해서 토의하는 단계 FGI를 이용한 시장조사 원칙 누구를 대상으로 진행할 .. TIL 3 |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 페르소나(persona)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 디자인씽킹의 디자인(Design)은 어디서부터 유래했을까? 디자인의 어원은 Designare 라는 이탈리아어에 어원을 두고 있다. 보통 디자인 하면 외형적인 미적감각을 추구하는 것을 떠올릴 텐데, Designare의 의미는 외형적 아름다움보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를 바꿔나가는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 디자인씽킹은, 많은 문제해결 방식 중에서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디자인 방법론이다. 디자인씽킹의 요소에는 공감 > 문제정의 > Ideate > Prototype > Test 가 있다. 이를 단계로 정리하면 1단계 현재상태의 문제 정하기, 2단계 더 나은 상태로 변화시키기, 3단계 고쳐서 다시 실험하기 가 되는데 각 단계는 마지막 test를 거쳐 다시 수정과 보완을 .. TIL 2 | 공공데이터 오픈API 활용 엑셀의 세계는 무궁무진하다,, 물론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만지작거려봤지만,, 내가 이거 배워서 써먹을 때는 어떻게 하게 될지 감이 오지 않을 정도 어제 파워쿼리 변환을 하면서 궁금했던 점이 '10만개'같은 텍스트 형식의 숫자를 어떻게 잘 정제할 수 있을까?였다. 우선 나는 [쿼리 편집기]-[변환]-[값 바꾸기]를 이용해 '개'를 없애고, '만'은 '0000'으로 바꿔주었다. 그렇게 정수로 형식까지 바꿔주면 숫자로 인식은 되는데, '100000'으로 가독성 떨어지는 형태가 되었다 🥹 천(1000)단위 구분 쉼표를 만들어주고 싶었는데, 드디어 찾아냈다! 쿼리 편집기를 닫고, [홈]-[쉼표]를 눌러주면 되는 간단한 문제였다. ^_^... 어제는 그냥 냅다 복사+붙여넣기 했던 API 호출하는 U..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