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케팅 TIL

TIL 6 | 환경조사 3C/4P분석

 

 

마케팅은 어떻게 소비자의 욕구를 발견하고 만족시킬까? 아래 순환구조를 보면 이해가 빠르다.

이처럼, 소비자의 욕구를 발견하고 만족시키는 과정이 마케팅을 이해하는 열쇠가 된다.

 


 

마케팅 기획을 할 때 환경조사를 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에는 WOT분석과 더불어, 3C/4P 분석이 있다.

 

3C 분석

일본에서 개발한 환경조사 프레임워크이다.

자사(company), 고객(customer), 경쟁자(competitor)라는 3가지 관점에서 비즈니스를 진행한다.

 

나는 아래와 같이 '이불'아이템과 브랜드를 임의로 선정해서 3C분석을 해봤다 !

 

아이템 : 이불
Company : 알레르망
- 자체제작 특수원단을 사용한 알러지 없는 이불로 시장성 확보
- 프리미엄 100만원 대
- 매출액 52억
- 시장1위

Customer
- 국내 가구 전세대가 고객
- 온/오프라인 모두 구매
- 이사를 하거나 신혼가구에서 많이 구매함
- 교체주기 3년 이내

Competitor : 세사리빙
- 가격대 차이를 소비자들이 크게 느끼지 못함(프리미엄 100만원 대)
- 자체제작 특수원단, 알러지케어 이불 동일
- 많은 커뮤니티에서 자사와 경쟁사 둘 중 뭘 살지 고민하는 글이 많음. 이미 대립구도 형성 중
- 브랜딩 승부로 경쟁할 것으로 보임

 

 

호기롭게 느낌표 붙여가며 "분석"했다고 했지만 ,, 어렵다,,,, 딥하게 들어가지 않아서 그런지 특이점이 없는 분석인 것 같다 🥹

그런데 3C를 먼저 배우고, 4P로 넘어갔는데 이미 내가 했던 3C 분석에 4P의 내용도 일부 녹아있었다.

 


4P 분석

마케팅 4P란 제품이나 서비스의 마케팅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4가지 핵심 요소

4P는 제품(Product), 가격(Price), 판매촉진(Promotion), 유통채널(Place) 를 의미한다.

기업은 판매하고자 하는 시장의 환경을 분석하고, STP 전략을 세운 뒤 마케팅 믹스로 마케팅 전략을 세분화할 수 있다.

 

Product 제품

  • 경쟁 타사의 상품과 서비스는?
  • 자사의 상품과 서비스는 차별화 할 수 있는가?

Price 가격

  • 경쟁 타사의 가격은?
  • 자사의 가격이 표적시장에 적합한가?
  • 이익률은?

Promotion 판매촉진

  • 경쟁 타사는 어떤 판매 촉진 전략을 쓰고 있는가?
  • 자사는 어떤가?

Place 유통

  • 경쟁 타사의 유통채널은?
  • 자사의 유통은 표적 시장에 제대로 도달했는가?

 

 

Product
- 자사와 경쟁사 모두 자체제작 특수원단을 사용한 알러지 없는 이불로 시장성 확보
- 많은 커뮤니티에서 자사와 경쟁사 둘 중 뭘 살지 고민하는 글이 많음. 이미 대립구도 형성 중
- 브랜딩 승부로 경쟁할 것으로 보임

Price
- 경쟁사 : 세트 기준 50-100만원대

- 자사와 흡사한 가격구조를 이루고 있음

Promotion
- 자사 : 웨딩 프로모션, 창립50주년 50%이벤트 진행 중
- 경쟁사 : 차렵이불 할인이벤트 진행 중
- 자사 대비 저렴한 라인의 이벤트 진행으로 자사는 프리미엄/혼수 이미지를 가져가면서 객단가를 높이는 방향 설정

 

Place

- 자사와 경쟁사 모두 온/오프라인 동시 판매 중

- 고객 구매처 또한 온/오프라인으로 분배되어 있으나, 자사와 경쟁사 모두 시중의 침구류 브랜드 대비 객단가가 높은 브랜드 특성 상 혼수/이사 등의 이벤트가 있는 소비자의 경우에는 오프라인으로 방문해 직접 경험해보고 구매하는 편

- 자사 유통구조 자체는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하는 데에 문제가 없으나, 매일 사용하고 수면과 직결되는 상품 특성상 제품 퀄리티 차별화를 위해 온라인보다는 오프라인 판매를 유도하여 소비자 경험을 늘릴 필요가 있음

 

 

팀원분이 만약 내가 알레르망에 입사한다고 생각했을 때 어떤 프로모션을 해보고 싶냐고 질문하셨다! 날카로우심,,

나는 알레르망이라는 브랜드 자체가 하이퀄리티 침구류 카테고리에서 인지도가 있다고 생각하는 편이라, 위 Promotion 단계에서 분석했던 것처럼 가격 프로모션으로 인한 모객보다는 브랜드 이미지를 고착화시킬 수 있는 고급화 전략을 진행해볼 것 같다고 답했다.

 

'가격 프로모션을 하지 않고, 고급화 전략을 할 수 있는 마케팅'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하고 찾아본 결과, 이 컨텐츠에서 약간의 인사이트를 얻었다.

 

여기에서는 프리미엄, 시연회, 멤버십 등을 꼽아보고 싶다.

견본품 같은 경우에는 적용하기가 어려울 것 같고, 혹여나 가능한 상품이 있다고 하더라도 견본품(샘플)자체가 고급화 전략에는 맞지 않을 듯싶다.

보너스 팩 같은 경우에도, 가격만 낮아지지 않았지 할인과 비슷한 개념이기 때문에 브랜드 이미지가 하락할 수 있는 우려 때문에 꼽지 않았다.

팀원의 질문 한 마디에서 시작한 가벼운 꼬리물기였지만, 나는 또 한 단계 성장했다 ! 🤝🏻

 

 

 


내가 궁금한 것들은 찾아보면 다 나오고, 내가 생각한 아이디어는 누군가도 생각해본 아이디어고, 내가 느끼는 것들은 누군가도 느끼는 것들이다 🥹

나는 이런 점들이 내가 공감하고 이해하며 성장할 기회가 되기도 하지만, 갈수록 창의력과 기발함을 발휘하기 힘들어질 수 있는 양날의 검 같다고 생각한다.

데이터와 컨텐츠의 홍수 속에서도 세상을 놀라게 하는 사람들은 많듯이, 나도 그 속에서 독보적인 아이디어를 내는 사람이 되고 싶다 🙌🏻